본문 바로가기

취미/과학

과학 #5 - 데카르트 좌표계 배경+ 와 - 가 도입된 것은 1540년 영국의 수학자 로버트 레코드의 에서 였다. 1557년 출판된 이란 책에서는 등호(=) 를 도입했다. 그의 저서는 갈릴레오가 죽고 난뒤에도 수백년동안 표준 교과서로 사용되었다. 로그 17세기 초 로그의 발명으로 천문학자들은 복잡한 산술계산과정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어서 천문학, 수학의 발전을 가져왔다. 데카르트 ( 1596.3.31 ~ ) 브르타뉴의 라에에서 태어났다.데카르트는 지방에서 이름 있는 부유한 가문 출신이었다. 아버지는 변호사였고 어머니는 태어난지 얼마 되지 않아 세상을 떠났으며 충분한 재산을 물려주었다.하지만 신체적으로 병약해서 건강 때문에 많은 고통을 받았다. 1619년 11월 10일 군대복무 중 방한구석에서 날고 있는 파리를 보고는 파리의 위치.. 더보기
과학 #4 - 길버트와 갈릴레오 갈릴레이 과학 - 우리가 알아야할 모든 것 책정리 네번째입니다. 갈릴레오를 최초의 과학자라고 이 책은 말하고 있다.이전에는 논리적인 해석과 모형을 통한 가설의 이해가 주된 흐름이었다면 16세기와 17세기 사이 이 시기에는 가설을 실험과 관찰을 통해 비교해 보는 과학적 방법이 영국의 윌리엄 길버트와 이탈리아의 갈릴레오 갈릴레이에 의해 제시된다. 길버트 (1544.5 ~ ) 지역 유지집안에서 태어나 자기의 성질에 대한 철저한 탐구로 물리학에 거대한 발자취를 남겼다.돈이 많았기에 엄청난 자금을 바탕으로 과학 연구를 했다.당시 전기와 자기는 그리스 철학자들의 탐구 이후에 무시된 채로 남아 있었다. 18년동안의 연구 끝에 1600년 라는 책을 출판했다. 이 책은 영국의 물리과학 분야에서 처음으로 출판된 중요한 저작이었다... 더보기
과학 #3 - 티코 브라헤와 케플러 과학 - 우리가 알아야할 모든 것 책정리 세번째입니다. 과학은 16세기 중 후반 들어 혁명이라고 할 수 있는 시기에 접어든다. 바로 갈릴레오 갈릴레이를 통해서다. 그 전에 갈릴레오에게 많은 영감과 선지식을 주었던 과학자들부터 만나보자. 티코 브라헤 (1546.12 ~ 1601.10) 스칸디나비아 반도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오토는 추밀고문관으로 왕을 섬겼으며 여러 나라의 대위로 재직한 다음 헬싱보리 성의 영주를 지냈다. 티코는 입에 은수저를 물고 태어났다는 표현을 이 책에서 썼다. '이 시기에 과학자들은 거의 대부분 부유한 집안의 자손들이라는 것을 생각해보면 어쩌면 당연한 것일지 모르겠다. 산업혁명 이전에는 토지와 경작 그리고 주요 관직에 있는 사람들이 부를 차지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따라서 돈이 있는 .. 더보기
과학 #2 - 토머스 딕스와 브루노 과학 - 우리가 알아야할 모든 것 책정리 두번째입니다. 코페르니쿠스의 가 출간되고 난 후 극소수의 사람들 중에 토머스 딕스라는 사람이 있다. 레너드 딕스 (1520~1559) 토머스 딕스의 아버지. 과학자이자 최초의 대중과학 운동가. 그의 첫번째 책 은 영어로 쓰여져 있어 베스트셀러가 되었다. 1551년경 계측 작업과 관련하여 경위의(수평축과 연직축의 둘레를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망원경과 그 회전각을 정밀하게 읽을 수 있는 눈금장치가 되어 있는 광학기계) 를 발명했다. 거의 같이 시기에 반사망원경과 굴절망원경을 발명했다. 토머스 딕스 (1546~1595) 아버지가 죽자 후견인 존 디의 보살핌을 받았다. 존 디는 전형적인 르네상스 자연철학자, 훌륭한 수학자, 연금술 연구자, 엘리자베스 1세의 조언자이자.. 더보기
우주론적 이해 조화모형 더보기
초기 우주 더보기
과학 #1 - 프톨레아이오스와 코페르니쿠스 과학의 발전에는 천문학을 빼놓을 수 없습니다. 옛날 하늘을 보며 상상했던 모든 이론과 탐구들이 오늘날 실증된 과학의 밑거름이 되었다는 사실... 하지만 하늘에 대한 탐구가 구체적이고 사실이 된 시기는 인류역사에 불과 500년 정도밖에 되지 않았다는 사실이 더욱 놀랍습니다. 수천년동안 지구가 평평하고 끝에 낭떠러지가 있거나 지구가 우주의 중심에 있고 별들이 지구를 돌고 있다고 믿었다는 것인데 망원경이 발견되고 난 후부터는 종교도 막지 못할 정도로 급속하게 천문학이 발전하게 됩니다. 이제 하늘을 어떻게 생각해 왔는지 인물을 중심으로 그리고 과학 책을 중심으로 기술해보겠습니다. 존 그리빈이 쓴 과학이라는 책은 15세기부터 과학이 시작이라고 말합니다. 흔히 계보라고 하지요. 과학이 어느 누구의 독보적이고 독창적.. 더보기